top of page

시를 잊은 성도에게 - 어머니라는 말 / 이대흠




어머니라는 말을 떠올려보면

입이 울리고 코가 울리고 머리가 울리고

이내 가슴속에서 낮은 종소리가 울려나온다


어머니라는 말을 가만히 떠올려보면

웅웅거리는 종소리 온몸을 물들이고

어와 머 사이 머와 니 사이

어머니의 굵은 주름살 같은 그 말의 사이에

따스함이라든가 한없음이라든가

이런 말들이 고랑고랑 이랑이랑


어머니란 말을 나직히 발음해보면

입속에 잔잔한 물결이 일고

웅얼웅얼 생기는 파문을 따라

보고픔이나 그리움 같은 게 고요고요 번진다


어머니란 말을 또 혀로 굴리다보면

물결소리 출렁출렁 너울거리고

맘속 깊은 바람에 파도가 인다

그렇게 출렁대는 파도소리 아래엔

멸치도 갈치도 무럭무럭 자라는 바다의 깊은 속내

어머니라는 말 어머니라는


그 바다 깊은 속에는

성난 마음 녹이는 물의 숨결 들어 있고

모난 마음 다듬어주는 매운 파도의 외침이 있다


  • 이대흠, <어머니라는 말>


언어 자체의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시들이 있어요. 예를 들어, 김영랑의 시 대부분이 그렇지요. “새악시 볼에 떠오는 부끄럼같이/ 시의 가슴을 살포시 적시는 물결같이/ 보드레한 에머랄드 얇게 흐르는/ 실비단 하늘을 바라보고 싶다.”(<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> 中).


이대흠 시인의 이 시는 또 어떤가요?. ‘어머니’라는 말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쓴 시인데, 시 자체가 또한 모국어의 아름다움을 드러내지요. 이런 시는 속으로 읽지 말고 소리내어 읽어야 제 맛이지요. 어머니의 사랑과 은혜에 대해 한 마디 설명 없이도, 어머니라는 말 하나로 그 모든 걸 다 표현해요. 역시 시인은 다르지요?


참 신기한 게 있어요. ‘지저스’라고 발음하면 오지 않는 울림이 ‘예수님’이라고 부르면 하면 찾아와요. 모국어로 부르는 그분의 이름이 다른가 봐요. 여러분은 어떠신가요? 그분의 이름을 발음할 때 입과 코가 울리고 가슴 속에 그리움 같은 게 고요고요 번지나요? 어디선가 웅웅거리는 종소리가 온몸을 감싸오나요? 하나님~ 하고 불러 놓고 그 길고 긴 여운 속에 잠겨 한참을 머물러 보셨나요?


자식이라면 울림없이 부를 수 없는 그 이름, 어머니.

그리고, 하나님.


(손태환 목사)


댓글


시카고기쁨의​교회

1-224-616-2772

info@cjcchurch.org

2328 Central Rd.

Glenview, IL 60025

  • kakao_channel
  • White Instagram Icon
  • White YouTube Icon
  • White Facebook Icon

©2020 by Chicago Joyful Community Church. 

Thanks for connecting

bottom of page